김성한 (1958년)

김성한
Kim Seong-Han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58년 5월 18일(1958-05-18)(66세)
출신지 전라북도 군산시
신장 178cm
체중 85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내야수
프로 입단 연도 1982년
드래프트 순위 1982년 선수 2차드래프트 2위
첫 출장 KBO / 1982년 3월 28일
구덕롯데
마지막 경기 KBO / 1995년 9월 24일
광주OB
계약금 1억7천
경력

선수 경력

지도자 경력


김성한(金城漢, 1958년 5월 18일 ~ )은 전 KBO 리그 해태 타이거즈의 선수였다. 전 KIA 타이거즈의 감독과 한화 이글스 수석코치를 역임했다.

KBO 리그의 대표적인 강타자로 해태 타이거즈 소속 프로 야구 원년 멤버로 프로 생활을 시작해서 같은 팀의 타격 코치를 거친 후 김응용 감독이 삼성 라이온즈로 옮기게 되자 KIA 타이거즈의 감독을 역임했다. 물러난 이후에는 모교인 군산상업고등학교 감독을 역임했으며, MBC ESPN 야구 해설 위원도 거쳤다.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국가대표팀 수석코치, KBO의 기술위원을 거쳐 2013~2014년에 한화 이글스의 수석 코치를 맡았다.

프로에서 14시즌을 뛰는 동안 타점왕 2회 (1982, 1988), 홈런왕 3회 (1985, 1988, 1989), 최우수 선수 2회 (1985, 1989), 최다 안타 2회 (1985, 1988) 등 화려한 수상 경력을 지녔다. 1988년에는 KBO 리그 사상 처음으로 20 홈런 - 20 도루 클럽 (26-32)에 가입하였고, 최초로 한 시즌 30홈런을 돌파하였다(1988), 또한, 은퇴 당시 안타(1389), 루타(2285), 득점(762), 2루타(247) 부분에서 통산 1위를 기록하였다. 장종훈의 등장 이전 각종 타격 기록은 김성한의 것이었고 "기록 제조기"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1982년 KBO 리그 원년 해태 타이거즈는 14명이라는 초미니 선수단으로 출발하였다. 김성한은 팀의 3번 타자로서 3루수, 1루수, 지명 타자로 출장하는 한편 투수로도 활약하였고, 포수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을 뛴 선수이다. 타자로서 그는 69타점으로 타점왕을 거머쥐었고, 13홈런에 3할 타율을 기록하는 한편 투수로서는 10승(3선발승)을 기록하였다. 이로써 투타 분업이 확실한 프로 야구에서 결코 나올 일이 없는 10승 투수·타점왕·3할 타자라는 진기록을 남겼다. 김성한의 투타 겸업은 1985년까지 계속되었고, 투수로서 15승 10패의 기록을 남겼다. 1983년 전기 리그 1위를 달리던 삼미 슈퍼스타즈에 2.5 경기차로 뒤진 채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에서 가진 홈 경기 3연전 가운데 2차전에 선발 투수로 깜짝 출장한 김성한은 삼미 타선을 완봉으로 틀어 막으면서 해태 타이거즈삼미 슈퍼스타즈를 제치고 전기 리그를 1위로 마치는 데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른바 1기 KKK포 (김준환-김봉연-김성한)와 2기 KKK포 (김성한-김봉연-김종모), 그리고 이순철-한대화-김성한으로 이어지는 타선에 이르기까지 해태 타이거즈의 초창기와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중반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총 14시즌에 통산 타율 0.286, 포스트 시즌 타율 0.286을 기록했으며, 해태 타이거즈의 통산 9차례의 우승 중 7차례를 이끌었다. 1985년1988년 두 차례 시즌 MVP에 올랐으며, 6차례의 1루수 골든 글러브, 1988년 올스타전 MVP, 그리고 3차례의 홈런왕 (7시즌 동안 4위 이내)를 기록했으며, 최다 안타 2회, 타점 1위 2회, 최다 득점 1회를 기록하였고, 1989년에는 도루 3위에 오르며 20-20 클럽을 달성하였다. 올스타전 역시 12차례 출전하였다.

선수 말년에도 최초로 열린 한·일 슈퍼 올스타전에서 (1991) 3개의 홈런을 기록하였다. 당시 그의 배트는 일본 도쿄 돔에 전시되고 있다. 은퇴 이후 해태 타이거즈의 수석 코치를 거쳐 해태 및 KIA 타이거즈의 3대 감독(2001년-2004년)을 역임했다. 하지만 감독 재임 중 2002년에 2군 포수였던 김지영을 폭행한 사건으로 감독 생활에 오점을 남기기도 했다.[1]

별명은 오리궁둥이이다. 이 별명은 그의 특이한 타격폼 때문에 붙은 별명인데, 김성한은 다른 타자들과 달리, 마치 일본도를 잡는 자세와 같이 배트를 뒤로 젖힌 상태로 공이 날아오기를 기다렸다가 칠 때의 엉덩이가 뒤로 빠지면서 뒤에서 볼 때 오리의 엉덩이와 흡사하여 붙여졌다. 최근에는 KBS 2TV에서 방송한 천하무적 야구단에서 가끔 객원해설을 하기도 하였고, 기술고문 겸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12년 한화 이글스의 수석코치로 임명되었다.

한편, 1988년 최초 30홈런으로 종전 이만수의 정규시즌 MVP 최다홈런(83년 27홈런) 기록을 깼으며[2] 1983년 이만수 이후 5년 만에 홈런-타점 2관왕 정규시즌 MVP가 됐으나 본인(김성한)의 기록은 1991년 장종훈(35홈런) 1992년 장종훈 (41홈런) 1998년 우즈(42홈런) 1999년 이승엽 (54홈런) 2003년 이승엽 (56홈런)에 의해 갱신됐는데 1988년 9월 7일 청주 빙그레전에서 내야땅볼을 치고 자신이 지킨 1루에 달려 온 빙그레 장종훈과 부딪쳐 팔목골절을 당해 8주진단을 받아[3] 한국시리즈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한국시리즈 당시 본인(김성한)이 지킨 1루 자리에는 1982년 이외엔 지명타자로 활동한 김봉연이 대신했다[4].


등번호

주요 기록

  • 진한 바탕은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기록임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상대 투수 경기수 달성 당시 나이 기타 각주
150경기 출장 1983. 8. 10 해태 사직 롯데 [5]
500득점 1990. 6. 5 해태 청주 LG 798 32세 17일 [6][7]
600타점 1991. 5. 23 해태 대전 빙그레 두 번째
600득점 1991. 7. 14 해태 대구 삼성 947 33세 1개월 26일 [6]
2000루타 1992. 8. 20 해태 광주 롯데 1087 34세 3개월 2일 [6]
700득점 1993. 5. 26 해태 광주 롯데 1140 35세 8일 DH1 [8]
  • 한국시리즈 우승 7회 (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주요수상기록 (각종 타이틀 외)

  • 정규시즌 MVP (1985, 1988)
  • 미스터 올스타 (1992)
  • 선발 올스타출전 10회
  • 골든 글러브 6회
    • 1루수 (1985, 1986, 1987, 1988, 1989, 1991)
  • 1982 (유일무이한 10승(3선발승)-10홈런, 타점왕)
    • 홈런 4위, 안타 3위, 타점 1위, 득점 7위, 타격 10위
    • 승리 7위, 구원승 5위, 방어율 6위, 세이브포인트 8위,삼진 18위, WHIP 9위
  • 1983 (안타 4위, 타점 17위, 득점 3위, 도루 9위, 타격 10위)
  • 1984 (홈런 6위, 안타 4위, 타점 13위, 득점 8위, )
  • 1985 (홈런 1위, 안타 1위, 타점 2위, 득점 2위, 타격 3위)
  • 1986 (홈런 2위, 안타 4위, 타점 5위, 득점 2위, 도루 18위, 타격 15위)
  • 1987 (홈런 3위, 타점 13위, 득점 2위, 타격 11위)
  • 1988 (홈런 1위, 안타 1위, 타점 1위, 득점 2위, 도루 10위, 타격 3위)
    • KBO 최초 30홈런돌파
  • 1989 (홈런 1위, 안타 3위, 타점 2위, 득점 1위, 도루 3위, 타격 19위)
    • KBO 최초 20-20 클럽 (26홈런 32도루)
  • 1990 (홈런 15위, 득점 10위, 도루 19위)
    • 부상으로 89경기
  • 1991 (홈런 3위, 안타 11위, 타점 4위, 득점 9위, 도루 20위, 타격 14위)
  • 1992 (홈런 18위, 최악시즌)/ 1993 (타점 13위, 타격 18위)/ 1994 (45경기출장)/ 1995 (85경기출장, 은퇴)

타격 성적

















2

3



















O
P
S












4
1982 해태 24 80 340 318 48 97 17 4 13 69 10 5 9 55 .305 .340 .506 .847 161 7 8 0 5 0
1983 25 96 382 339 59 111 20 0 7 40 13 7 38 38 .327 .402 .448 .850 152 7 4 0 1 2
1984 26 98 410 365 48 94 16 2 12 41 7 5 39 59 .258 .336 .411 .747 150 6 4 0 2 2
1985 27 105 455 400 66 133 29 1 22 75 8 5 42 37 .333 .400 .575 .975 230 6 3 4 6 2
1986 28 104 449 404 64 113 16 0 18 57 10 10 32 45 .280 .340 .453 .793 183 8 6 5 2 1
1987 29 81 342 306 43 96 22 0 15 46 3 1 30 29 .314 .378 .533 .911 163 5 3 1 2 5
1988 30 104 457 404 72 131 12 0 30 89 16 5 31 52 .324 .382 .577 .959 233 4 11 4 7 3
1989 31 118 513 414 93 116 18 0 26 84 32 8 84 62 .280 .407 .512 .920 212 7 9 0 6 11
1990 32 89 385 331 61 93 17 2 11 49 14 4 39 53 .281 .361 .444 .805 147 4 6 3 6 0
1991 33 112 482 411 69 121 25 5 23 83 16 9 51 70 .294 .388 .547 .935 225 7 15 0 5 2
1992 34 117 458 410 62 107 18 0 15 59 6 2 37 59 .261 .331 .415 .746 170 9 7 2 2 1
1993 35 107 403 362 45 99 23 0 6 52 4 2 27 59 .273 .331 .387 .718 140 12 6 4 4 0
1994 36 45 171 157 17 37 10 0 1 14 4 3 9 31 .236 .288 .318 .607 50 0 3 1 1 0
1995 37 82 255 229 15 41 4 0 8 23 0 1 15 47 .179 .236 .301 .537 69 9 3 5 3 2
KBO 통산 : 14년 1338 5502 4850 762 1389 247 14 207 781 143 67 483 696 .286 .358 .471 .829 2285 91 88 29 52 31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투수 성적





































4














W
H
I
P
1982 해태 24 10 5 .667 2.88 26 5 3 1 1 0 106.1 88 6 45 0 49 6 2 0 44 34 438 1.25
1983 25 1 1 .500 2.08 4 3 1 1 0 0 17.1 13 1 5 0 8 1 0 0 6 4 71 1.04
1985 27 4 3 .571 3.35 10 2 1 0 1 0 40.1 35 1 18 4 12 1 0 1 18 15 170 1.31
1986 28 0 1 .000 9.00 1 1 0 0 0 0 3.0 2 0 3 0 0 0 0 0 3 3 15 1.67
KBO 통산 : 4년 15 10 .600 3.02 41 11 5 2 2 0 167.0 138 8 71 4 69 8 2 1 71 56 694 1.25

경력

선수

지도자

기타

  • 한국 야구 위원회 경기 운영 위원 : 2006년
  • MBC ESPN 야구 해설 위원 : 2007년
  • 제1회 대한민국야구박람회 조직위원장 : 2012년

방송 출연

광고 출연

각주

  1. 김성한 감독 폭행 파문 일단락 - 동아일보
  2. “올 MVP 김성한…두번째 영광 프로야구 사상 최다득표 MBC 이용철 신인왕 차지”. 한겨레신문. 1988년 10월 15일.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3. “金城漢(김성한) 팔목골절 8週(주)부상”. 동아일보. 1988년 9월 8일.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4. 정동식 (1988년 10월 27일). “해태 短期戰(단기전)선"天下無敵(천하무적)"”. 경향신문.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5. '이선희 비운 언제까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1983,8,11
  6. 《2010 Korean Baseball Record Book》,(사)한국야구위원회, 2010
  7. '투고타저 갈수록 뚜렷'[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향신문》1990,6,6
  8. '삼성 통산 첫 700승 금자탑..해태 김성한 700득점 기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1993,5,27

출신 학교

외부 링크

  • 김성한 - KBO 타자별 기록
  • 김성한 - KBO 투수별 기록
  • 김성한 - 스탯티즈
전임
김응용
제3대 KIA 타이거즈 감독
2001년 - 2004년 7월
후임
유남호
해태 타이거즈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83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전기리그 1위)
감독 39 김응용
투수 16 이상윤 | 29 김용남 | 19 강만식 | 34 황기선 | 15 주동식 | 21 방수원 | 김현재
포수 25 김무종 | 박전섭
내야수 11 김성한 | 5 차영화 | 18 장진범 | 6 서정환 | 27 김봉연 | 33 양승호 | 1 조충열
외야수 10 김준환 | 1 김일권 | 7 김종모 | 44 송일섭
최다 도루 김일권, 한국시리즈 MVP 김봉연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86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전·후기 리그 2위)
감독 39 김응용
코치 김인식
투수 18 선동열 | 20 문희수 | 31 차동철 | 16 이상윤 | 47 김정수 | 21 방수원 | 29 김용남 | 28 김대현 | 19 강만식 | 49 강상진
포수 25 김무종 | 22 장채근
내야수 11 김성한 | 6 서정환 | 8 한대화 | 5 차영화 | 27 김봉연 | 15 김평호 | 4 김일환 | 3 조충열
외야수 1 김일권 | 14 이순철 | 7 김종모 | 44 송일섭 | 10 김준환 | 48 이건열
최다 다승, 최다 탈삼진, 최우수 평균자책점, 정규시즌 MVP 선동열,최다 홈런, 최다 타점 김봉연, 최다 도루 서정환, 올스타전 MVP 김무종, 한국시리즈 MVP 김정수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87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후기리그 2위)
감독 39 김응용
코치 김인식
투수 18 선동열 | 20 문희수 | 47 김정수 | 28 김대현 | 31 차동철 | 21 방수원 | 16 이상윤 | 13 송유석 | 32 신동수 | 49 강상진
포수 25 김무종 | 22 장채근
내야수 11 김성한 | 6 서정환 | 8 한대화 | 2 백인호 | 27 김봉연 | 김일환
외야수 10 김준환 | 14 이순철 | 7 김종모 | 1 김일권 | 44 송일섭 | 24 박철우 | 48 이건열 | 조재환
최우수 평균자책점 선동열,올스타전 MVP 김종모, 한국시리즈 MVP 김준환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89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2위
감독 김응용
코치 김인식
투수 선동열 | 이강철 | 조계현 | 문희수 | 신동수 | 김정수 | 차동철 | 강태원 | 송유석 | 이광우 | 방수원
내야수 김성한 | 서정환 | 한대화 | 백인호 | 조충열 | 윤재호 | 문승훈
외야수 박철우 | 이순철 | 김평호 | 김준환 | 이건열 | 김종모 | 김성규 | 조재환
최다승리, 최다 탈삼진, 최우수 평균자책점, MVP 선동열,최다홈런, 최다 득점 김성한, 한국시리즈 MVP 박철우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88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전·후기리그 1위)
감독 39 김응용
코치 김인식
투수 18 선동열 | 16 이상윤 | 20 문희수 | 32 신동수 | 31 차동철 | 방수원 | 김대현 | 송유석 | 47 김정수 | 조도연
내야수 11 김성한 | 2 백인호 | 6 서정환 | 8 한대화 | 27 김봉연 | 조충열 | 차영화
외야수 10 김준환 | 14 이순철 | 7 김종모 | 김성규 | 이건열 | 조재환
최다 탈삼진, 최우수 평균자책점 선동열,최다 안타, 최다홈런, 최다 타점 김성한, 최다 득점, 최다 도루 이순철, 올스타전 MVP 한대화, 한국시리즈 MVP 문희수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91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
감독 39 김응용
코치 유남호 | 백기성 | 김봉연 | 이상윤 | 서정환
투수 선동열 | 이강철 | 신동수 | 조계현 | 송유석 | 문희수 | 김정수 | 김승남
내야수 김성한 | 홍현우 | 한대화 | 김병두 | 박철우 | 양회열 | 백인호 | 이경복
외야수 이호성 | 이순철 | 이종택 | 이건열 | 김종모 | 김태완 | 박현수
최다 승리, 최다 탈삼진, 최우수 평균자책점, MVP 선동열 | 최다 도루 이순철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93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
감독 39 김응용
코치 유남호 | 김봉연 | 서정환 | 차영화 | 이상윤
투수 13 송유석 | 15 신동수 | 16 문희수 | 17 조계현 | 18 선동열 | 19 이강철 | 26 이대진 | 47 김정수 | 51 강태원
포수 22 장채근 | 25 정회열
내야수 3 김병조 | 5 홍현우 | 6 윤재호 | 7 이종범 | 8 한대화 | 11 김성한 | 24 박철우 | 52 이경복
외야수 10 정성룡 | 12 김훈 | 14 이순철 | 27 이호성 | 61 이건열 | 이용석
최다 승리 조계현 | 최우수 평균자책점, 최우수 구원상, 최다 세이브 선동열 | 최다 득점, 한국시리즈 MVP 이종범
  • v
  • t
  • e
해태 타이거즈 - 1997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
감독 70 김응용
코치 71 유남호 | 76 차영화 | 75 김종모 | 79 김성한 | 이상윤 | 장채근
투수 11 김상진 | 17 조계현 | 19 이강철 | 20 강태원 | 26 이대진 | 37 임창용 | 41 박진철 | 47 김정수
포수 22 최해식 | 32 김지영 | 35 권오성
내야수 1 장성호 | 5 홍현우 | 7 이종범 | 16 김종국 | 33 김태룡 | 38 이호준 | 39 백인호 | 52 이경복
외야수 3 조현 | 8 박재용 | 10 최훈재 | 27 이호성 | 40 박재벌 | 44 김창희 | 54 이동욱
최다 득점, 최다 도루, 한국시리즈 MVP 이종범
한국프로야구 수상 및 명예
  • v
  • t
  • e
KBO 홈런상 수상자
  • 2010 이대호
  • 2011 최형우
  • 2012 박병호
  • 2013 박병호
  • 2014 박병호
  • 2015 박병호
  • 2016 테임즈, 최정
  • 2017 최정
  • 2018 김재환
  • 2019 박병호
최다 홈런 개수 56개 (2003년, 이승엽) | 최소 홈런 홈런왕 21개 (1986년, 김봉연) | 최다 홈런왕 박병호 (6회, 2012년~2015년, 2019년, 2022년)
  • v
  • t
  • e
KBO 타점상 수상자
  • 2010 이대호
  • 2011 최형우
  • 2012 박병호
  • 2013 박병호
  • 2014 박병호
  • 2015 박병호
  • 2016 최형우
  • 2017 러프
  • 2018 김재환
  • 2019 샌즈
  • v
  • t
  • e
KBO 득점상 수상자
시즌 최다 득점 서건창 (2014년, 135득점) | 최다 수상 이종범, 이승엽 (5회) | 득점상은 1999년부터 공식 타이틀로 지정되었다
  • v
  • t
  • e
최고 장타율 테임즈 (2015년, 0.790) | 최다 수상자 장종훈 (4회)
  • v
  • t
  • e
KBO 안타상 수상자
시즌 최다 안타 서건창 (2014년, 201개) | 최다 수상 이병규 (4회) | 안타상은 1990년부터 공식 타이틀로 지정되었다
  • v
  • t
  • e
KBO MVP 수상자
  • 역대 최다 수상: 이승엽 (5회) | 역대 최다 연속 수상: 이승엽 (2001년~2003년)
  • v
  • t
  • e
  • 1982년 김용달
  • 1983년 신경식
  • 1984년 김용철
  • 1985년 김성한
  • 1986년 김성한
  • 1987년 김성한
  • 1988년 김성한
  • 1989년 김성한
  • 2020년 강백호
  • 2021년 강백호
  • 2022년 박병호
  • 2023년 오스틴
최다 수상 이승엽 (7회) | 연속 수상 이승엽 (7년, 1997~2003), 김성한 (5년, 1985~1989), 박병호 (3년, 2012~2014), 이대호 (2년, 2006~2007), 테임즈 (2년, 2015~2016), 강백호 (2년, 2021~2021) | 신인 수상 서용빈 (1994년)
  • v
  • t
  • e
최다 수상자 김용희, 박정태, 정수근, 이대호, 홍성흔 (2회) | 연속 수상 박정태 (1998년~1999년) | 최다 배출 구단 롯데 자이언츠 (15회, 11명)
2021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됨
  • v
  • t
  • e
  • 가입 조건 : 홈런 20개 이상, 도루 20개 이상
1980년대
  • 김성한 (1989년, 26홈런-32도루)
1990년대
  • 이호성 (1991년, 21홈런-25도루)
  • 장종훈 (1991년, 35홈런-21도루)
  • 송구홍 (1992년, 20홈런-20도루)
  • 이순철 (1992년, 21홈런-44도루)
  • 이정훈 (1992년, 25홈런-21도루)
  • 김재현 (1994년, 21홈런-21도루)
  • 박재홍 (1996년, 30홈런-36도루)
  • 양준혁 (1996년, 28홈런-23도루)
  • 이종범 (1996년, 25홈런-57도루)
  • 박재홍 (1997년, 27홈런-22도루)
  • 양준혁 (1997년, 30홈런-25도루)
  • 이종범 (1997년, 30홈런-64도루)
  • 최익성 (1997년, 22홈런-33도루)
  • 홍현우 (1997년, 22홈런-20도루)
  • 박재홍 (1998년, 30홈런-43도루)
  • 데이비스 (1999년, 30홈런-35도루)
  • 송지만 (1999년, 22홈런-20도루)
  • 신동주 (1999년, 22홈런-26도루)
  • 양준혁 (1999년, 32홈런-21도루)
  • 이병규 (1999년, 31홈런-31도루)
  • 홍현우 (1999년, 34홈런-31도루)
2000년대
2010년대
  • 강정호 (2012년, 25홈런-21도루)
  • 박병호 (2012년, 31홈런-20도루)
  • 최정 (2012년, 26홈런-20도루)
  • 최정 (2013년, 28홈런-24도루)
  • 나바로 (2014년, 31홈런-25도루)
  • 테임즈 (2015년, 47홈런-40도루)
  • 아두치 (2015년, 28홈런-24도루)
  • 나성범 (2015년, 28홈런-23도루)
  • 나바로 (2015년, 48홈런-22도루)
  • 황재균 (2016년, 27홈런-25도루)
  • 김하성 (2016년, 20홈런-28도루)
  • 버나디나 (2017년, 27홈런-32도루)
  • 손아섭 (2017년, 20홈런-25도루)
  • 박건우 (2017년, 20홈런-20도루)
  • 호잉 (2018년, 30홈런-23도루)
  • 버나디나 (2018년, 20홈런-32도루)
  • 손아섭 (2018년, 26홈런-20도루)
2020년대
최다 가입 : 양준혁 (4회 - 1996년~1997년, 1999년, 2007년) · 박재홍 (4회 - 1996년~1998년, 2000년)
최고령 가입 : 추신수 (2021년, 만 39세 2개월 22일) | 최연소 가입 : 김재현 (1994년, 만 19세 11개월 5일)
대한민국 국가 대표
  • v
  • t
  • e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02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2회)
감독 김인식
코치 김재박 · 김성한 · 주성노
투수 18 노장진 · 20 이승호 · 21 송진우 · 27 박명환 · 37 임창용 · 41 김진우¹ · 47 이상훈 · 51 조용준¹ · 55 정재복¹
포수 22 홍성흔 · 44 김상훈¹
내야수 1 장성호 · 3 박진만 · 5 김한수 · 10 김동주 · 14 김민재 · 16 김종국 · 36 이승엽
외야수 7 이종범 · 9 이병규 · 34 이영우 · 62 박재홍
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
  • v
  • t
  • e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감독 81 김인식
코치 75 강성우 · 76 김민호 · 77 류중일 · 78 이순철 · 79 양상문 · 80 김성한
투수 11 이재우 · 12 임창용 · 13 장원삼 · 17 오승환 · 19 정현욱 · 20 이승호 ·
21 정대현 · 28 윤석민 · 31 김광현 · 32 임태훈 · 51 봉중근 · 99 류현진
포수 26 박경완 · 47 강민호
내야수 2 최정 · 6 이범호 · 8 정근우 · 10 이대호 · 14 고영민 · 16 박기혁 · 52 김태균
외야수 5 추신수 · 15 이용규 · 29 이택근 · 35 이진영 · 39 이종욱 · 50 김현수
  • v
  • t
  • e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0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3위
감독 김재박

코치 김성한 · 조범현 · 정진호
투수 정민태 · 조용준 · 김진웅 · 임창용 · 이승호 · 이강철 · 김진우 · 심수창
포수 진갑용 · 조인성
내야수 이승엽 · 장성호 · 김종국 · 김한수 · 김동주 · 박진만 · 홍세완

외야수 심정수 · 박한이 · 이종범 · 박재홍
1등, 2등에만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졌기에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은 3위에 그쳐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다.
  • v
  • t
  • e
해설자
  • 허준
코치
  • 33 이경필(주루, 투수 코치)
  • 백지영(단장)
  • 김성한(기술고문 및 해설위원)
  • 김인식(총감독)
투수
  • 17 김동희
  • 3 오지호
  • 11 김성수
  • 13 탁재훈
포수
내야수
  • 3 오지호(투수 겸업)
  • 4 김창렬(2대 주장)
  • 5 동호
  • 11 김성수(투수 겸업)
  • 13 탁재훈(외야수 겸업)
  • 16 김현철
  • 17 김동희(투수 겸업)
외야수
하차 멤버